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7082ced86a68268d87e17f08094e5ed899aa913f" / 공공기관 노인 일자리 정책 점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공기관 노인 일자리 정책 점검

by wellbeing999 2025. 4. 8.

1. 이슈

      정년을 마치고 은퇴한 노령인구의 증가 추세에 따른  이분들의 사회참여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2. 보건복지부의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정부의 주무 부처는 보건복지부이며, 2024년도 기준으로 전국에서  160만 명 이상이  참여중인 것으로 집계됩니다.

    "노인 일자리" 정책의  주요 내용은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일자리로 분류됩니다. 

 

   1) 공익형 

 

       만 65세 이상의 기초연금 수급자가  대상이며, "노노케어(홀몸 어르신 돌봄)", "어린이 보호구역 교통봉사",

      "지역환경 정비", "복지시설 도우미" 등의 사회봉사 활동입니다.

       비교적 시간적 여유가 있는 분들에게 적합하며 활동 지원비는 30만원/월  정도로 상대적 소액입니다.

 

   2) 사회서비스형  

      만65세 이상으로서 해당분야 전문지식이나 경험이 필요하며, 

       주요  사례는 지역아동센터, 장애인시설, 복지관, 결손가정 방문 상담 등 입니다.

.

 

  3) 시장형  

 

        만60세 이상으로 수익 창출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지원합니다.

        주요 사례는 "시니어 카페 창업", "공동작업장 운영", "전통시장 지원사업" 등 이며,

        수입은 실적에 연동하여 발생합니다.

 

3.  지방자치단체의 노인일자리 사업

 

   1) 서울특별시 

        공공시설관리, 주민 상담원, 보육도우미 등입니다. 

 

     2) 부산광역시

         폐지 수거 어르신들을 위한 대체 일자리 제공 및 도시정비, 공공청소 등 공익성 활동.

 

      3) 전라남도 – ‘어르신 농촌일자리’

          "어르신 농촌 일자리"로서 농번기에 인력이 부족한 농가에  65세 이상의 어르신을 파견하고

          일정 일당을 지원해 줍니다.

 

4. 관련 통계

 

2024년 기준, 국비 및 지방비로 운영되는 노인 일자리는 약 160~170만 개 이상으로 추정되며

참여 대상자들의 만족도는 80% 이상으로 높습니다.

특히 도시지역보다는 농촌지역에서 체감도가 더 좋은 경향 임.

 

5.  폐지 줍는 어르신 지원도 일자리로 전환.

보건복지부는 2023년부터 **‘폐지 수집 어르신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들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중 임.

단순 ‘돕기’가 아니라,  자존감을 세워주는 새로운 방식의 일자리로 정책방향 설정.

 

6.  종합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노인 일자리 사업"은 지속적으로 확장 추세 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