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주년을 맞아 새롭게 개편된 온라인 콘텐츠 공개
2025년은 6·25전쟁 발발 7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국가기록원은 이 역사적인 해를 맞아, 6·25전쟁의 전개 과정과 의미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록 콘텐츠를 전면 개편하여 선보입니다.
공개일: 2025년 6월 25일(수)
접속처: 국가기록원 누리집
국가기록포털
일반 기록물 5,793,725 시청각 기록물 353,402 총독부 기록물 850,517 정부 간행물 372,988
www.archives.go.kr
(출처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 전쟁의 흔적을 기록으로 만나다
국가기록원이 준비한 이번 콘텐츠는 단순한 연대기 소개가 아닙니다.
전쟁의 배경부터 전개, 피해 상황, 관련 사료까지 다양한 주제를 시각적으로 정리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 주요 구성
- 6·25전쟁의 배경: 남북한 정부 수립, 유엔 결의문 등
- 6·25전쟁의 전개 과정: 전선 변화 지도, 작전 명령서 등
- 6·25전쟁의 피해: 납치자·포로 명부, 인명 피해 자료
- 관련 기록물 소개: 국내외 희귀 자료, 사진·영상 콘텐츠 등
📷 국내외 희귀 기록물, 한자리에
국가기록원은 이번 개편에 맞춰 한국뿐 아니라 미국, 영국, 러시아 등
해외 주요 기록기관에서 확보한 다양한 사진과 영상을 수록했습니다.
예를 들면,
📄 국제연합 총회 결의문 112호 (1947.11.14.)
👉 유엔이 한국의 독립을 위해 결의한 역사적 문서
🗺️ 제6사단 작전경과 지도
👉 6·25전쟁 발발부터 1952년까지의 진격·철수 경로 기록
📸 1951년 문산리, 중공군 공격 준비 중인 유엔군 사진
👉 생생한 전선의 긴장감 전달
🖥️ 보기 쉽고, 읽기 쉽게! 새로워진 UI
기존의 텍스트 위주 구성에서 벗어나, 지도, 도표, 그림 등을 중심으로 재구성해
모바일에서도 보기 좋은 반응형 웹으로 개선되었습니다.
📖 책장을 넘기듯 볼 수 있는 구성
🗺️ 움직이는 전선 변화 지도
📱 다양한 기기에서 자동 최적화 제공
"전쟁의 흐름을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이야기'로 체험할 수 있게 바꿨습니다."
💬 전문가 & 관계자 한마디
“사실적 근거를 기반으로 구성된 콘텐츠는 6·25전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김기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전쟁사부장
“국민 누구나 쉽게 기록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개선하겠습니다.”
— 이용철 국가기록원장
🕯️ 우리가 기록을 되새기는 이유
6·25전쟁은 단지 오래전 일이 아닙니다.
우리 사회의 뿌리와 분단의 현실,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기게 하는 생생한 역사입니다.
기록은 말합니다. 전쟁을 잊지 말아야 평화도 지킬 수 있다고 !!
📌 접속하기
▶ 국가기록원 공식 누리집
▶ [6·25전쟁 콘텐츠 바로가기] (6.25 공개 이후 활성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