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7082ced86a68268d87e17f08094e5ed899aa913f" / "범정부 빈집관리 종합계획" 알아봅니다.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범정부 빈집관리 종합계획" 알아봅니다.

by wellbeing999 2025. 5. 4.

범정부 빈집관리 종합계획 안내
범정부 빈집관리 종합계획 안내

 

 

4개 부처(행안부, 국토부, 농식품부, 해수부)는 5월1일 합동으로 "범정부 빈집 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이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첨부 : 범정부 빈집관리 종합계획_2025.05.01)

범정부빈집관리종합계획발표_20250501.pdf
0.86MB

 

 

✅ 「범정부 빈집 관리 종합계획」 핵심 요약

1️⃣ 전국 단위 빈집 관리체계 구축

  • 빈집 통합 플랫폼: ‘빈집애(愛)’ 플랫폼(www.binzibe.kr)을 통해 전국 빈집 현황 제공 및 활용정보 공유
  • 법령 정비:
    • 「농어촌빈집정비특별법」 및 「빈건축물정비특별법」 제정 추진
    • 도시와 농어촌 간 상이했던 빈집 정의 및 관리체계 통합
  • 데이터 기반 예측 시스템 도입:
    • 수도·에너지 사용량, 인구통계 등 공공데이터 연계로 빈집 발생 예측

2️⃣ 빈집 정비·활용 및 안전 확보

  • 지방소멸대응기금에 빈집 정비사업 포함
  • 활용 사례 확산:
    • 청양군: 월 1만 원 임대주택
    • 강진군: 예술인 대상 마을 호텔 거주 지원
  • 도시 내 활용 확대:
    • ‘뉴:빌리지’ 사업과 연계해 주차장·공원 등 공공시설 조성
    • ‘빈집 허브’ 모델로 공공이 매입·활용 추진
  • 안전관리 강화:
    • 매월 4일 ‘안전점검의 날’ 운영
    • 범죄예방 환경디자인(CPTED) 적용

3️⃣ 지자체 정비 역량 강화

  • 빈집 통합관리 조례안 마련 및 전담부서 운영 지원
  • 실무자 매뉴얼 제공: 빈집 입지 기반의 활용유형·절차 정리
  • 행정절차 간소화:
    • 전자고지로 빈집 소유자에 통지
    • 재산세 정보 연계로 빈집 소유자 파악 용이화

4️⃣ 민간의 자발적 정비·활용 유도

  • 세제 혜택 확대:
    • 철거 후 토지 공공활용 시 재산세 감면기간 확대 (5년 → 전체 공공활용기간)
    • 양도소득세 중과 배제기간 확대 (2년 → 5년)
  • 신규 제도 도입:
    • ‘빈집관리업’ 및 ‘농어촌 빈집재생민박업’ 신설
  • 빈집 거래 활성화:
    • 플랫폼에 실거래 희망 빈집 등록
    • ‘농촌 빈집은행 활성화 지원사업’ 통해 거래 촉진

🧩 정책 추진 의의

이번 종합계획은 빈집 문제를 단순히 철거 대상으로 보지 않고, 지역 재생·주거복지·문화공간 등으로 활용국가균형발전지방소멸 대응에 기여하려는 종합적 접근이 핵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