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7082ced86a68268d87e17f08094e5ed899aa913f" / 식물이 사람을 위로 할 수 있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식물이 사람을 위로 할 수 있습니다..

by wellbeing999 2025. 6. 24.

서울시 "반려식물 보급사업" 홍보 포스터
서울시 "반려식물 보급사업" 홍보 포스터

무심코 지나치는 화분 하나가 누군가에겐 하루의 위로가 됩니다.
서울시는 올해도 반려식물을 통해 사회적 약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특별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벌써 9년째인 "반려식물 보급사업"은 어르신, 고립·은둔 청년, 노동취약계층 등 6천 명에게

식물과 함께하는 힐링의 시간을 선물합니다.

 

(출처 : 서울시 보도자료)

반려식물로 사회적약자6천명케어한다_서울시_20250624.pdf
0.41MB


🌱 마음을 보듬는 작은 숲, 반려식물 보급사업이란?

서울시는 2017년부터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을 위해 반려식물을 보급해왔습니다.
단순히 식물을 전달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와 함께하는 원예치유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연결 회복까지 도모하는 사업입니다.

올해 2025년에는 총 6,000명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합니다.

  • 어르신과 장애인 5,400명
  • 고립·은둔 청년 500명
  • 돌봄노동자 등 노동취약계층 100명

🧓 어르신과 장애인 5,400명에게, 집으로 찾아가는 식물 처방전

서울시는 17개 자치구의 협조를 받아 어르신과 장애인들에게 반려식물을 보급합니다.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위해 전문가가 직접 가정을 방문하고, 식물 관리법과 함께

"맞춤형 원예치유 프로그램(3회기)"도 진행합니다.

“나도 누군가에게 돌봄을 줄 수 있다는 게 큰 힘이 돼요.”
– 어르신 참가자 인터뷰 중

2024년 만족도 조사 결과, 참여자의 98%가 만족했고, 우울 지수가 ‘경증’에서 ‘정상’으로 개선되는 효과도 있었답니다.


🌿 은둔 청년, 식물과 함께 다시 세상으로

올해부터는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새로운 시도가 도입됩니다.
바로, "그린코디네이터"  민간자격 과정 운영입니다.

서울시는 500명의 청년에게 반려식물을 보급하고, 이 중 300명에게는 "정서 회복을 위한 원예 프로그램(2회기)"을,

희망자에겐 자격 과정(7회기)도 제공합니다.

 

📌 선택 가능한 식물:

  • 스칸디아모스
  • 율마
  • 오렌지자스민
  • 몬스테라 아단소니

또한 SNS를 통한 온라인 관리 지원도 가능해, 대면이 어려운 청년도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어요.

참여 방법: 서울시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 →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 신청

 


👩‍⚕️ 돌봄노동자 100명, 노동복지센터와 함께하는 치유의 시간

서울시는 7개 노동복지센터를 통해 돌봄노동자 100명에게 반려식물을 보급하고, 2회기 원예치유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합니다.

📌 선택 식물 예시:

  • 멜라니고무나무
  • 수채화고무나무
  • 디펜바키아 마리안느
  • 필로덴드론 버킨콩고

또한 꽃바구니 만들기, 테라리움, 드라이플라워 액자 등 다양한 체험도 함께 진행되어, 쉼 없이 달려온 이들에게 따뜻한 시간을 선물합니다.


🌿 식물과 함께 다시 삶으로

"반려식물 보급사업"은 단순한 물품 지원이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사회 복귀의 용기를 북돋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여러분의 주변에도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가 있다면, 이 사업을 알려주세요.
작은 식물 한 포기에서 시작된 위로가, 더 큰 희망으로 자라날 테니까요. 🌱


💡 관련 정보

  • 신청처: 청년몽땅정보통
  • 대상: 고립·은둔 청년 / 노인 및 장애인(자치구 추천) / 돌봄노동자(노동복지센터 신청)
  • 문의: 서울시 민생노동국 농수산유통과 02-2133-4450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