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한 재난 상황, 119에 전화했는데 “통화 중입니다”…
이제 그런 불안감은 줄어들 전망입니다.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AI 콜봇 119 신고 접수 시스템을 도입해,
대형 재난이나 집중호우 등 긴급 상황에서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획기적인 시스템을 운영 중입니다.
(출처 : 서울시 보도자료)
“AI 콜봇이 신고를 대신 받는다!”
기존의 119 신고 시스템은 접수요원이 통화를 직접 받아야 했기 때문에,
비상시나 다수의 신고가 집중될 때는 전화 연결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AI 콜봇’이 도입되면서 최대 240건의 대기 신고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고,
신고 대기 시간이 확 줄어들었습니다.
신고자가 음성으로 사고 유형과 위치를 말하면,
AI 콜봇이 이를 실시간 분석해 긴급도에 따라 분류하고, 즉각 접수요원에게 연결합니다.
실전에서 검증된 AI 기술
서울시는 2025년 3월부터 AI 콜봇 시범 운영을 시작했으며,
4개월간 11,434건의 신고가 AI를 통해 접수되었고, 이 중 2,250건이 긴급 신고로 분류되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동일 지역에서 유사 신고가 잇따를 경우에는 이를 통합 분석해 복합 재난 가능성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AI가 현장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수준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평상시에도 활용, 반복 민원도 AI가 처리
현재는 신고 폭주 시에만 AI 콜봇이 작동되지만, 앞으로는 평상시에도 일부 신고 전화에 적용해
‘AI 기반 재난종합상황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는 도로 침수, 배수 불량 등 반복되는 일상 재난 민원도 AI가 실시간 처리하게 되는 것으로,
2026년 하반기 시범 운영을 목표로 시스템 구축이 진행 중입니다.
‘AI 기본법’ 대비, 신뢰성 인증도 함께
서울시는 AI 콜봇 도입과 함께 내년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에 선제 대응하고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협력하여 AI 신뢰성 검증 사업도 병행 중입니다.
지난 7월 14일에는 ‘서울시 AI 기본 조례’도 공포해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죠.
“AI가 시민 생명을 지킨다”
서울시는 “AI가 단순 자동화를 넘어 생명을 지키는 도구로 거듭나고 있다”며,
“AI 기술이 시민의 안전 속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공공 AI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요약
- 서울시, 전국 최초 ‘AI 콜봇 119 신고 시스템’ 도입
- 최대 240건 동시 신고 처리로 골든타임 확보
- 복합 재난 조기 감지 등 고도화된 AI 기술 활용
- 2026년부터 평상시 재난 민원에도 AI 접수 확대 예정
- //